Pure Black/AWC Chart Team의 레벨 (r4)

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: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[주의!] 문서의 이전 버전(에 수정)을 보고 있습니다. 최신 버전으로 이동
파일:아이콘 상위 문서.png 상위 문서:
,
,
,
,
| 레벨 제작자
합작 명의
AWC Chart Team 《Colourless》
트랙
이펙트
| 출시일
2024년 3월 5일
| 레벨 정보
곡 길이
2:46
BPM
180 → 230[후반변속][2]
타일 수
○○○○
| 주요 패턴
파일:Level_Tag_3_Pseudos.png파일:Level_Tag_64plus_Beats.png파일:Level_Tag_Acceleration.png파일:Level_Tag_Deceleration.png파일:Level_Tag_Funky_Beats.png파일:Level_Tag_Gallop.png파일:Level_Tag_Midspin.png파일:Level_Tag_Pseudo.png파일:Level_Tag_Triplet.png파일:Level_Tag_Zips.png
| 난이도
창작마당
-
ADOFAI.gg
파일:gg Lv 21_0.svg
TUF
파일:TUF Lv U2.png (파일:TUF Lc 21_0.png)
| 주요 링크
파일:Youtube.png | 파일:TUF-logo.png

1. 개요2. 구간
2.1. 초반 (0% ~ 42%)2.2. 중반 (42% ~ 81%)2.3. 후반 (81% ~ 100%)
3. LOTY4. Easy 버전5. 여담

1. 개요[편집]

AWC 2024의 첫 번째 결승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.

2. 구간[편집]

2.1. 초반 (0% ~ 42%)[편집]

처음에는 가볍게 시작하다가 4%에 3동타 이후 급발진이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레벨을 시작한다. 이는 처리 방법이 크게 2가지가 있다. 첫 번째는 2키 기반으로 넘기는 방법[3], 두 번째는 4키 기반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.[4]

그 다음 4% 급발진을 넘기고 마주하는 것은 8%부터 시작되는 동타 질주다. 12%와 16%의 64비트를 조심하면 무난히 넘어올 수 있는 구간이다. 그 뒤로 잠시 쉬다가 19%부터는 충분히 죽을 수 있는 파트들이 나오기 시작한다. 25%부터는 2키 기반이나 4키 기반으로 처리해도 상당히 헷갈리고 많이 죽는 패턴이 나오기도 한다. 29%부터는 16비트 동타 질주에 30% 같은 동타까지 추가된 트릴까지 나오기 시작한다. 42%까지 버텼으면 이제 잠시 쉬어주면서 드랍을 준비하자.

2.2. 중반 (42% ~ 81%)[편집]

쉬는 구간에 등장하는 삼각함수와 함께 쉬어주었다면, 다시 달릴 준비를 하자. 46%부터 오른손 기반 기준 12 12 43의 패턴이 4번 반복하고 그 다음 49%에선 마지막에 어떻게 끝내야할 지 감이 안 잡히는 64비트 트릴을 지나면 54%부터 드랍이 시작된다. 67%까지는 평범한 32비트 질주지만, 그 이후부턴 30도 동타가 섞인 질주도 등장한다. 드랍 질주가 끝나고 BPM이 낮아지고 81%에 있는 64비트 트릴을 지나면, 본격적으로 후살이 시작된다.

2.3. 후반 (81% ~ 100%)[편집]

이 맵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라고 해도 무방하다. 우선, 64비트 트릴을 지난 후 178BPM으로 시작한 후살은 거의 5초에 한번씩 BPM이 변동될 정도로 BPM 변동이 심한 구간이다. 패턴 자체는 난이도가 괜찮지만, 변속이 들어가자 정말 난이도가 어려워졌다. 심지어, 마지막에 나오는 3동타 폭탄은 수많은 98%, 99% 사망의 피해자를 만들기도 한다. 물론, 3동타 폭탄 이전에서도 많이 죽는 편이다. 마지막 급감속에서도 주의하자. 여기서 죽는다면 99%의 따끈따끈한 소고기를 맛볼 수 있다.

전체적으로, 해당 구간은 운이 너무 좋은 것이 아니면 반드시 실전에서 한 번 이상 죽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의 뇌절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연습을 하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.

3. LOTY[편집]

LOTY 2024에서 올해의 레벨상을 수상했다.

4. Easy 버전[편집]

5. 여담[편집]

[후반변속] 230 → 215 → 205 → 200 → 190 → 178 → 184 → 190 → 196 → 202 → 208 → 214 → 220 → 226 → 232 → 238 → 244 → 250 → 256 → 225 → 210 → 195 → 180 → 170 → 160 → 140 → 130 → 130 → 115 → 100 → 80 → 40 → 90[2] 최대 타일 BPM ○○○, 체감 BPM ○○○[3] 오른손 기반 기준 22 22 23 22 23 23 22 23 23 22 23 22 22 23 22[4] 오른손 기반 기준 44 45 55 54 45 45 54 04
모든 문서는 CC BY-NC-SA 4.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.